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Life

소득대비주택비율(PIR)이란? 서울, 수도권, 지방 PIR 비교로 쉽게 이해하기

소득대비주택비율(PIR)이란? 서울, 수도권, 지방 PIR 비교로 쉽게 이해하기

소득대비주택비율(PIR)이란? 서울, 수도권, 지방 PIR 비교로 쉽게 이해하기

내 집 마련, 누구나 꿈꾸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특히 급등하는 집값 속에서 내 소득으로 과연 집을 살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은 모든 세대의 공통된 화두가 되었는데요. 오늘은 '소득대비주택비율(PIR)'이라는 지표를 통해 부동산 시장을 더 쉽게 이해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서울, 수도권, 지방의 PIR 수치를 예시로 들며 여러분의 이해를 돕고자 합니다.

PIR(소득대비주택비율)이란 무엇인가?

PIR이란 Price to Income Ratio의 줄임말로, 직역하면 '가격 대비 소득 비율'입니다. 우리말로는 '소득대비주택비율'이라고 부르며, 한 가구의 연간 소득으로 특정 주택을 구입하는 데 얼마나 걸리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연 소득이 5,000만 원인 가구가 있고, 이 가구가 원하는 집의 가격이 3억 원이라면 해당 가구의 PIR은 6입니다. 즉, 연 소득을 한 푼도 안 쓰고 모은다고 가정했을 때, 6년 동안 모아야 집을 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세계적으로도 PIR은 부동산 시장의 과열 여부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로 쓰이며, 일반적으로 PIR이 5 이하이면 주택 구매가 가능한 수준, 7 이상이면 부담스러운 수준, 10 이상이면 매우 어려운 수준으로 평가합니다.

서울의 PIR 실태 – 현실은 극악

서울의 주택 가격은 말 그대로 '하늘 위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특히 강남 3구나 용산, 마포 같은 인기 지역은 중산층은 물론, 고소득층조차 접근이 쉽지 않은 수준입니다.

서울의 평균 PIR은 최근 통계에 따르면 15 이상입니다. 예를 들어 연 소득 6,000만 원인 가구가 서울의 평균 아파트 가격인 9억 원짜리 아파트를 구매하려면 15년을 소득 전액을 모아야 가능하다는 계산입니다. 실질적으로 생활비, 세금 등을 고려하면 집을 사기 위한 기간은 30년 이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예시: 서울 송파구 L아파트 전용 84㎡ – 가격: 12억 원 / 연 소득: 8,000만 원 / PIR: 15

수도권의 PIR – 서울보단 낫지만 부담 여전

수도권(경기, 인천)의 PIR은 서울보다는 낮지만 여전히 만만치 않습니다. 특히 GTX나 신도시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은 서울 수준으로 집값이 오르고 있어 PIR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경기도의 평균 PIR은 8~10 수준이며, 특히 분당, 판교, 광명, 하남 등은 PIR 10 이상으로 부담이 큽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외곽 지역인 평택, 파주 등은 PIR 6~7 수준으로 그나마 접근이 가능한 편입니다.

예시: 경기 하남 M아파트 전용 84㎡ – 가격: 7억 원 / 연 소득: 7,000만 원 / PIR: 10

지방의 PIR – 구매 가능 수준?

지방 대도시나 중소도시의 경우 PIR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부산, 대구, 광주 등의 대도시는 PIR 5~7 수준으로, 중산층 소득으로도 충분히 집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이나 비수도권 중소도시는 PIR이 4 이하인 곳도 많습니다.

하지만 지방은 인구 감소, 일자리 부족 등의 문제가 있어 단순히 PIR만 보고 투자 또는 구매를 결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예시: 대구 수성구 K아파트 전용 84㎡ – 가격: 4억 원 / 연 소득: 6,000만 원 / PIR: 6.7

PIR 수치가 의미하는 것 – 내 집 마련 전략

PIR은 단순히 숫자로 끝나는 지표가 아닙니다. 이 수치는 곧 여러분의 주거 안정성노후 대비에 직결됩니다. PIR이 높은 지역일수록 대출 부담이 크고, 무리한 대출은 금리 상승 시 재정 위기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PIR이 낮은 지역에서 시작해 점차 자산을 불리는 전략도 필요하며, 자신만의 재정 계획과 목표를 세워 PIR을 적극 활용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맺음말 – PIR을 통한 현실 진단과 대비

PIR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서울은 현실적으로 내 집 마련이 어렵고, 수도권도 그리 쉽지 않지만, 지방에서는 희망이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PIR을 활용해 자신만의 주거 전략을 수립하고, 무리하지 않는 재정 계획을 통해 안정적인 삶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PIR #소득대비주택비율 #서울부동산 #수도권집값 #지방부동산 #부동산지표 #집값부담 #내집마련 #재테크 #부동산시장